1. 변수와 상수
- 데이터 꺼내쓰기위해 저장
- Variable(변수) :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후에 변경 가능.
- Constant(상수) : 데이터를 선언하며 저장한 후 변경 불가
2. 데이터 타입
- 정수(Int), 실수(Float, Double), 문자열(String), bool
3. 컬렉션 : 같은 타입의 여러개의 변수를 하나로 묶음
- Array(배열) :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하나에 담아두는 형태
var fruits: [String] = ["Apple", "Banana", "Cherry"]
fruits.append("Date")
let firstFruit = fruits[0] // Apple
- Dictionary(사전) : key로 value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형태
var capitals: [String: String] = ["Korea": "Seoul", "Japan": "Tokyo"]
capitals["China"] = "Beijing"
let koreanCapital = capitals["Korea"] // Seoul
- Set(집합) : 반복과 순서가 없는 고유의 값의 묶음
var colors: Set<String> = ["Red", "Green", "Blue"]
colors.insert("Yellow")
let isContainsRed = colors.contains("Red") // true
4. 조건문, 제어문
- 특정 조건에 따라서 다른 상태를 만들어주는 문법
- 코드의 실행 흐름을 관리하는 핵심적인 구성 요소
- if
if condition {
// 조건이 true일 때 실행됩니다.
} else if anotherCondition {
// 다른 조건이 true일 때 실행됩니다.
} else {
// 위의 모든 조건이 false일 때 실행됩니다.
}
- switch
switch value {
case value1:
// value가 value1일 때 실행됩니다.
case value2:
// value가 value2일 때 실행됩니다.
default:
// 위의 모든 case에 해당하지 않을 때 실행됩니다.
}
5. 반복문
- 같은 코드를 여러번 반복, 반복되는 코드를 간결하게 만드는 방법
- for in A ... B
for item in ["Apple", "Banana", "Cherry"] {
// 각 아이템에 대해 실행됩니다.
}
for index in 1...5 {
// 1부터 5까지 실행됩니다.
}
6.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로직 연결
- Storyboard에서 화면과 코드를 연결하는 방법
- IBOutlet
- 연결방법은 Command + 드래그 앤 드롭
- 컴포넌트를 연결, 화면에 있는 뷰와 코드를 연결할 때 사용
- IBAction
- 연결방법은 Control + 드래그 앤 드롭
- 액션을 연결, 사용자가 어떤 액션을 했을 때 동작을 구현
사전캠프 3일차인데 이제 어느정도 적응이 된 것 같다.
어떤것을 해야하는지 이제 잘 알게되었고 조금 익숙해진 것 같아 다행이다.
앞으로도 열심히 해야겠다.
'TIL (Today I Learned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2024. 05. 28 (0) | 2024.05.28 |
---|---|
[TIL] 2024. 05. 27 (0) | 2024.05.27 |
[TIL] 2024. 04. 29 (0) | 2024.04.29 |
[TIL] 2024. 04. 08 (0) | 2024.04.08 |
[TIL] 2024. 04. 02 (0) | 2024.04.02 |